런던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검색하면 노팅힐, 러브 액츄얼리, 해리포터만 반복하는 다소 뻔한 검색 결과만 나온다. 그래서 이 뻔하지만 정석인 리스트와 함께 보면 더욱 좋을 내가 추천하는 조금은 덜 알려진 영화들을 모아보았다.




1. Man Up (런던시계탑 밑에서 사랑을 찾을 확률), 2015



아무 기대 없이 봤는데 엄청난 소득을 올린 것 같은 뿌듯함을 안겨 준 영화이다. 한글로 번역된 제목이 조금 유치한 면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래도 런던을 배경으로 한 로맨스 영화를 찾는 사람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원래 'man up'의 사전적 의미는 "남자답게 행동하는 것"으로 영화 스토리에 비춰봤을 때 남자 주인공인 잭(사이먼 페그)이 어렵게 찾은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남자답게 당당하게 행동해야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스토리도 재미있고 배우들의 연기와 케미스트리도 훌륭하고 무엇보다 아름다운 런던의 야경이 넘치도록 펼쳐지는데 왜 영국을 대표하는 로맨틱 코미디로 알려지지 않았는지 의아할 정도이다. 





둘은 워털루 역에서 아주 우연한 계기로 만나 인연을 시작한다. 어떻게 보면 이 부분부터가 허무맹랑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실제 저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기에. 하지만 로맨스 영화는 대부분 우연으로 스토리 전개가 이루어짐으로 이 정도 쯤이야 판타지 요소로 즐겨줄 수 있다.





이렇게 템즈강을 따라 데이트하는 장면도 나오고. 런던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 





여자 주인공 낸시 역을 맡은 레이크 벨은 헐리우드 영화에서 주인공의 친구로 자주 나오기에 친숙한 얼굴이다. 항상 털털한 역할의 조연으로 많이 출연한 배우이기 때문에 정말 별로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이 영화를 보며 자연스럽고 사랑스러운 연기가 아주 좋았고 미국인이지만 "이 사람이 영국인이었나?'라는 생각을 했을 정도로 영국 액센트도 매우 훌륭했다. 





영국에는 주로 심오한 주제를 다루는 영화가 많은데 소소하고 코믹한 로맨스 장르라 좋다. 런던에서 펼쳐지는 알콩달콩 재미있는 사랑 영화를 찾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2. Fish Tank(피쉬 탱크), 2009



이스트 런던의 council estate(공영 주택 단지)에 사는 노동 계급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영화다. 바킹(Barking)이라는 도시가 배경인데 바킹은 런던의 해크니보다 더 동쪽에 있는 지역으로 소위 '좋은 동네'는 아니다. 이 지역에서 마치 fish tank(물고기 수조)같은 환경에서 살아가는 주인공 미아가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며 겪는 일들을 다룬 성장 영화라고도 할 수 있는 매우 현실적인 영화다. 





이스트 런던에 살던 친구가 6개월 후 재건축 될 카운슬 플랫에 살았었는데 이 영화에 나오는 아파트 모습과 똑같았다. 내가 친구에게 이런 곳에 혼자 살아도 무섭지 않냐고 물어봤을 정도로 건물은 매우 낡았으며 살고 있는 사람들도 영화에 나오는 사람들과 비슷하고 어쨌든 분위기가 매우 음울하고 거칠었다. 





주인공 미아는 춤을 통해 자신이 처해 있는 삶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미아가 이어폰을 끼고 춤연습을 하는 장면은 정말 뭉클하다. 살기 위한 몸부림처럼 보인다. 





엄마는 어린 미아가 집에 있음에도 이렇게 친구들을 불러 음주가무를 즐긴다. 영화 플로리다 프로젝트가 전하는 바도 그렇고 아이들이 자라나는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낀다. 어쩌면 저 엄마도 본인 부모의 무책임한 행동을 보고 자랐을 수도.





순전히 마이클 패스벤더 때문에 찾아 본 영화였다. 마이클 패스벤더는 미아 엄마의 남자친구로 출연하고 설명이 필요 없이 안정적이고 디테일한 연기를 보여준다. 신기한건 마이클 패스벤더는 의외로 비호감 역할을 맡는 경우가 꽤 있는데 그럼에도 그 인물의 감정과 상황에 이입하게 만들어 왜 그랬는지 이해하게 되는 상황을 만든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의하면 2009년 칸 영화제에서 박찬욱 감독의 박쥐와 함께 심사위원상을 받았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도 정말 잘 만든 영화라고 생각한다. 대중적인 분위기가 아니기에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미아 역할의 배우 케이티 자비스는 구글링을 해보니 영국의 국민 드라마 이스트 엔더스에도 출연했다고 하니 아직 잘 활동하고 있는듯하다. 




3. A Street Cat Named Bob (내 어깨 위 고양이, 밥)



내가 영국 영화 매니아라는 것을 안 한 학생이 추천해 준 영화다. 그리고 난 그 학생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이 영화는 동명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제임스 보웬이라는 영국의 노숙자이자 헤로인 중독자의 실화를 그린다. 헤로인 중독으로 죽을 뻔한 고비를 넘긴 노숙자 제임스는 사회복지사의 도움으로 카운슬 플랫에 들어가서 살게 되는데 거기에서 운명같은 밥을 만나고 그의 인생이 바뀐다! 





배우 루크 트레더웨이가 주인공 제임스를 연기하고 고양이인 밥이 연기를 너무 잘하길래 찾아봤더니 실제 고양이 '밥'이었다! 보는 내내 얼굴에 미소를 가시지 않게 하는 밥...





이 책은 누구나 서점에서 한 번쯤 봤을 정도로 엄청나게 많이 팔렸다. 고양이를 통해 인생이 바뀐 노숙자의 이야기라니 재미없을 수가 없다. 





밥과 제임스는 거리에서 버스킹도 하고 빅이슈도 팔며 점점 더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어간다. 





물론 이 영화에는 위기와 고비가 있다. 제임스의 밥의 순수한 모습을 보면서 웃다가도 둘이 겪는 일들을 보며 눈물이 나기도 하는 그런 감동적인 영화다. 



 


흥미로운 사실은 영화에 등장하는 또 다른 등장인물인 베티는 실제 제임스 역의 루크 트레더웨이와 연인 사이이다. 그래서인지 영화를 보는 내내 둘이 참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었다. 





실제 밥과 제임스 보웬.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보고 동물들이 사람에게 주는 따뜻한 사랑을 느꼈으면 좋겠다. 난 반려 동물로 인해 한 사람의 인생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100% 믿는다. 영국에선 대부분의 노숙자들이 반려견과 함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지역에 사는 친구가 말해주길 노숙자들이 삶을 향한 희망을 끈을 놓지 않게하려고 정부에서 반려견을 한마리씩 준다고 했다. 처음엔 열악한 환경에서 자랄 강아지들에게 잔인한 처사가 아닌가도 생각했는데 어떻게 보면 하루종일 집에 혼자 두고 키우는 사람들보다 어딜 가든지 함께하며 서로 의지하는 주인들이 반려견들에게는 더욱 좋은 주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노숙자들도 반려견을 통해 조건 없는 사랑을 받을 수 있다면 더 없이 좋은 일이 아닌가싶다. 이 후 영국에 다시 갔을 때 빅이슈를 파는 노숙자들을 보면 이 영화가 떠오르곤 했다. 




런던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이 영화들을 보고가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 런던이 훨씬 가깝고 친근하게 느껴질 것이다. 







덩케르크에서 킬리언 머피의 분량이 생각보다 너무 짧고 비중도 적었기에 (거기다 역할도...) 풀리지 않은 킬리언 머피를 향한 갈증을 풀기 위해 몇년전 봤던 <On the Edge>를 다시 꺼내봤다. 

2001년 영화로 킬리언 머피의 20대 중반 시절을 영화 내내..... 정말 내내 원없이 볼 수 있다. 









특히 킬리언 머피의 초기 필모그래피에 이름을 올리는 아일랜드 작품으로 아이리쉬 액센트도 원없이 들을 수 있다. (요즘 인터뷰를 보면 오랜 헐리우드 생활 때문인지 많이 미국화된 액센트...)



영화 자체는 성장영화로 무난하다. 원스, 비긴 어게인, 싱 스트리트의 존 카니 감독의 초기작으로 앞의 영화들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도 추천할 만하다. 

킬리언 머피 팬들은 MUST SEE!












19살의 나이로 불행한 가정사 때문에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된 Jonathan과 거기에서 만나게 되는 친구들의 소소하면서도 무거운 이야기이다. 성장기 부모님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 한번 깨닫게 해주는 영화. (내 정신세계를 흔들어놨던 <케빈에 대하여>에 이어..)



찝찝하거나 께림직한 장면, 소재는 없다. 아, 잠깐 피가 나오긴 하지만 기분나쁠 정도는 아니다. 











요즘은 거의 블록버스터에만 얼굴을 비추는 킬리언 머피이기에 이런 작품들이 더욱 소중하다.









피키 블라인더스 촬영할 때 말고 항상 고수하는 저 헤어스타일









이 장면을 보고 싱 스트리트가 떠올랐다. 파랑색오렌지색. 






바로 이 장면 2aan.wordpress.com











존 카니 영화의 특징인 레트로한 무드. 캐스트들도 모두 스타일리쉬하고 개성있다.









알록달록하고 순수하고 잔잔하다. 어찌 보면 잔인하기도 하다

어쨌든 사람은 살아있을 때 죽음에 대한 소중함마저 느끼게 되는 것.









정말 오랜만에 코미디가 아닌 영국드라마를 보고 심하게 빠져버렸다. 원래 나는 밥먹으면서 가볍게 볼 수 있는 짧은 코미디를 선호하는데 이 드라마는 TV영화정도의 퀄리티로 한 에피소드당 러닝타임이 한시간이고 내용자체도 무거워서 그다지 가볍게 볼 수 있지는 않다. 

BBC에서 2013년에 시즌 1, 2014년에 시즌 2가 그리고 2016년 시즌3가 방영되었다. (시즌 3에서는 아주 큰 사건이 일어난다...) 













세계 1차대전 후, 아직 전쟁의 후유증이 가시지 않은 때에 영국 지방인 버밍엄에서 일어나는 일들으르 다루고 있다. <Peaky Blinders>는 Shelby라는 가문을 중심으로 버밍엄 지역을 주름잡고 있는 집단을 가리킨다.

 












내가 영국드라마 중독자라는 것을 아는 한 오빠가 '혹시 이거 본 적 있니?'라며 이 포스터 한 장을 카카오톡으로 보내주었고 그게 내가 <Peaky Blinders>에 또 주인공인 Tommy 역할의 킬리언 머피에 심각하게 빠져드는 계기가 되었다.













킬리언 머피가 누구인지는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까지 완벽하리라고는 그동안 느끼지 못했었다. 이 드라마를 보기 전까진.. 

무언가에 집중하느라 생긴것 같은 다크서클, 게슴츠레하게 뜬 눈, 음푹 패인 볼, 섹시한 목소리 등 내가 좋아하는 모든 요건을 갖추고 있다.
















Shelby 가문은 실존인물들이다. 얼마나 드라마속의 인물들과 일치하는지는 알지 못하겠으나 실존인물들이라는 사실 자체가 아주 흥미롭다. Shelby 가문을 포함한 이 드라마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모두 전쟁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 전쟁이라는 것이 얼마나 사람의 몸과 마음, 생각을 파괴하고 지배할 수 있는지 잘 보여준다.














또 한명 눈에 띄는 출연자인 Grace. 주인공인 Tommy와 불꽃이 튀는데 고풍스런 분위기와 부드러운 아이리쉬 억양이 더해져 둘의 러브라인이 아주 흡족스럽다.














<Peaky Blinders>에서는 선정적인 장면들이 -잔인한 장면, 베드씬 포함- 자주 나오므로 가족들이 있는 곳 또는 공공장소에서 보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ㅇ












출연진들 단체샷. 이 외에도 주연급으로는 Shelby가문의 재정을 담당하는 Tommy의 고모 Polly와 Campbell 경감, 시즌 2부터 등장하는 샬롯 라일리와 카메오처럼 등장하는 톰 하디 등이 있다. 









영국의 수잔 서랜든 헬렌 맥크로리Helen McCrory 역시 Polly 역으로 갖고 있는 모든 카리스마를 분출한다. 영국 유명 배우 데미안 루이스의 부인이기도 하다.













처음 톰 하디 등장했을 때 목소리와 뒷모습 걸음걸이를 보며 '설마..설마... '를 속으로 연신 외쳤는데 정말 톰 하디였다. 샬롯 라일리의 출연으로 아마 덤으로 나온게 아닌가 싶다.

분노를 아예 억제하지 못하는 거의 사이코 수준의 악역을 보여 준다. 등장 씬들은 적지만 그래도 톰 하디니까...











Grace역의 애너벨 월리스와 Thomas Shelby역의 킬리언 머피. 

킬리언 머피의 스타일리스트에게 한 번만 말할 기회가 생긴다면 제발 저 머리 좀 버려달라고 간절히 부탁하고 싶다. 

애너벨 월리스는 콜드 플레이의 크리스 마틴의 여자친구로도 유명세를 많이 탔다. 시즌 3부터는 달라진 모양의 코로 원성을 듣기도 했지만(유튜브 댓글로부터...) 바뀌기 전이나 바뀐 후나 둘 다 아름답다. 하지만 사람들은 Grace의 어떤 부분도 바뀌길 원하지 않았던 것 같다. 






밑에서부터는 보는 내내 감탄하면서 나도 모르게 마구 캡쳐했던 <Peaky Blinders>의 스틸 화면들. 나중에는 양이 너무 많아져서 지워야 했을 정도로 킬리언 머피 때문에 잔인한 장면들마저도 다 용서가 되었다.



























역시 인기가 많아지면 욕심도 많아지는 법. 시즌 2에서 욕심을 부려 약간 산만해진 것 같지만 그래도 킬리언 머피의 비쥬얼과 카리스마로 모든 것이 커버된다. 

어릴 적 야인시대를 보며 탄성을 지르던 때로 돌아간 것 같다. 






개인적인 평점 ★★★★★






'영국 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드라마 The Mystery of Edwin Drood  (0) 2015.02.21
영국드라마 The Trip  (0) 2015.02.15
영국드라마 Horrible Histories  (0) 2014.11.07
영국코미디 The Mighty Boosh  (0) 2014.09.02
영국드라마 The 7.39  (0) 2014.08.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