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최고의 배우 두 명이 주연으로 나오는데도 그 이름과 유명세에 비해 별로 알려지지 않은 영화라 더더욱 매력있다. 영화 분위기 자체가 독립영화 스타일로 독특하고 실화에 근거한 이야기이기에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되어있다. 

무엇보다 제일 인상적인 것은 톰 하디의 헤로인 중독 노숙자 연기이다. 정신연령이 조금 떨어지는 지저분하고 특이한 성격의 노숙자 Stuart인데 그런 옷, 표정, 행동에도 그 카리스마는 감춰지지 않는다.














포스터만 봐도 보고싶은 욕구가 마구 솟아오른다. 요즘엔 블록버스터에만 자주 얼굴을 비추는 톰 하디이기에 이런 영화가 더욱 소중하다. 















현재 영국에서 제일 잘나간다고 말할 수 있는 베네딕트 컴버배치는 약간의 용돈을 위해 노숙자 보호시설에서 일하는 Alexander 역할을 맡았다. 고지식해 보이는 안경, 늘어난 셔츠와 핏이 엉성한 면바지에 크로스백, 이러한 옷차림에도 역시 그 카리스마는 가려지지 않는다.















스튜어트와 알렉산더는 노숙자들을 돌보는 단체를 이끌던 두 명이 경찰에 체포되면서 그들을 석방시키기위한 캠페인을 열면서 만난다. 이 과정에서 알렉산더는 스튜어트에 대해 흥미를 느끼게 되고 그에 대한 책을 쓰기 시작한다.
















스튜어트는 별볼일 없는 자신에 대한 책을 쓰겠다는 알렉산더가 이해되지 않지만 차츰 그에게 마음을 열고 본인의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나가기 시작한다. 책의 제목 'Stuart: A Life Backwards'역시 스튜어트의 아이디어에서 나온 것으로 스튜어트는 더 재미있게 책을 쓰고 싶으면 마치 미스테리 책처럼 본인의 이야기를 거꾸로 써보라고 제안한다.















그렇게 천천히 스튜어트는 이야기를 시작하고 그의 인생이야기의 퍼즐이 하나씩 맞춰져 갈수록 왜 그가 감옥을 서른번 이상이나 들락거리게 되었는지, 왜 헤로인에 중독되고 거리로 나오게 되었는지 차츰 알아가게 된다. 처음에는 단순한 노숙자와 공무원의 순수한 우정이야기 정도로만 생각했던 영화의 플롯은 후반부로 갈수록 조금 더 진중해지고 사회적, 가정적인 문제점까지 파고든다.















스튜어트의 어린시절의 이야기까지 도달했을 때에는 그가 얼마나 큰 상처를 안고 살아왔는지가 나타난다. 어렸을 때의 가정환경이 한 인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여실히 드러내는 장면이다. 우리가 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노숙자들도 이런 기억을 하나 둘쯤은 갖고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쉬는시간엔 이렇게 멀쩡하고 멋있고 섹시하다가 촬영만 시작되면 갑자기 바지를 엉덩이에 반쯤 걸치고 엉거주춤하게 걸어다니는 스튜어트로 탈바꿈하는게 경이로울 정도인 톰 하디... 

나는 원래 베네딕트 컴버배치 팬인데 이 영화를 보고나면 톰 하디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다.














약간의 폭력적인 장면들(그리고 아직도 충격적인 톰 하디의 전신 누드)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렇게 스틸 이미지만 봐도 마음이 뭉클해지는 영화이다. 알렉산더가 운전을 하며 스튜어트가 녹음한 테이프를 듣는 마지막 장면에서는 눈물을 참을 수가 없을 정도로 감동적인 요소도 갖추고 있다.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남들이 보기에 무서울 정도로 이상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100프로 이해하진 못하더라도 이해하고자 하는 한 번의 노력이라도 하게 만드는 그런 힘을 가진 영화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보고 느꼈으면 한다.












+ Recent posts